전파협회 dx과정 3팀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전파협회 임베디드 스쿨 과정 3팀입니다. 지난 질문에 이어서, 추가적인 질문 (5번) 까지 추가해 새 글을 작성드립니다.

저희 팀은 지능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GUI / 센서 / 음성 기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궁금한 점과 요청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블루투스 모듈 요청
    외부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 기능 구현을 위해,
    해당 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을 지원받을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 2. MST 미지원 모니터 대안 문의 → 답변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모니터 1대를 dp to hdmi 활용해 연결해볼 계획 중에 있습니다.

// 3. CAN 통신 모듈 지원 여부 → 답변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4. NPU 기반 BitNet LLM 테스트 가능 여부 → 답변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1. topst에서 따로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있는 것 같은데, 시중의 상품도 호환되는 것이 있는지, 특정 모듈만 사용되는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가능하다면 카메라 모듈도 받아볼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지난번 남겨주신 답변과, 멘토링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또한, 저희의 프로젝트와 관련해 추가 자료가 필요하시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3팀 올림

  1. 저희가 구매해서 사용하는 블루투스 모듈은 추가 댓글로 달겠습니다.
  2. 카메라 역시, dx 과정으로 4개의 카메라를 보낼 예정입니다. 필요한 팀들끼리 잘 나눠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모우진입니다.

연구소 김석범 매니저에게 질문 주셨던 내용을 여기에 기록을 남기기 위해 옮깁니다.

---------------------- 멘토링시 Q&A 된 부분 -------------------------------------------
(D3-G Board 기준)

1. Topst 에서 FreeRTOS를 사용하기 위한 환경 구성 방법

2. 카메라 발열 문제

  • 라즈베리파이 기본 카메라 사용 시 발열이 심해짐

  • 말씀해주셨던 발열 이슈 환경 구성과 센서 정보, 동작 확인 커맨드 등에 대한 정보 회신 부탁드립니다.

    • 내부적으로 RPi Camera v1 이용하여 확인 시 발열 이슈 X
  1. USB 무선랜카드 지원 여부
  • 지원 가능
  1. DP 디스플레이 사용 가능 여부
  • 지원 가능

5. FWDN 사용 시 Partition만 구울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

  • stitch-fai-d3.sh 파일 내부에 보시면 아래와 같이 파티션을 정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 bl3_ca72_a, boot, system, dtb 등이 파티션 이름이고 각각 부트로더, 커널, 루트파일시스템, DTB 를 나타냅니다.

bl3_ca72_a:2M@build/d3-g-topst-main/tmp/deploy/images/d3-g-topst-main/ca72_bl3.rom
boot:60M@build/d3-g-topst-main/tmp/deploy/images/d3-g-topst-main/tc-boot-d3-g-topst-main.img
system:16G@build/d3-g-topst-main/tmp/deploy/images/d3-g-topst-main/telechips-topst-image-d3-g-topst-main.ext4
dtb:200K@build/d3-g-topst-main/tmp/deploy/images/d3-g-topst-main/tcc8050-topst-d3-g.dtb

  • 각 파티션 이름을 이용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해당 파티션의 이미지만 write 하실 수 있습니다.

fwdn.exe --fwdn $BOOT_FIRMWARWE\fwdn.json

fwdn.exe --fwdn $BOOT_FIRMWARWE\fwdn.json --part boot --write $IMG_DIRECTORY\boot-to-write.img --storage emmc --area user

하기 2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저희 TOPST가 추가로 남기겠습니다.

먼저
2. 카메라 발열 문제 에서

  • 라즈베리파이 기본 카메라의 경우, 어떤 녀석일까요?
  •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는 v1, v2, v3, AI Cam, HQ Cam 등이 있습니다.

5. FWDN 사용 시 Partition만 구울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

  • 이 부분은 D3-P 모델로 확인 후 댓글로 남기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3팀 추가로 변경사항이 있어 글을 작성합니다.

오늘 멘토링을 진행한 이후,
ST보드에서 rtos로 센서값 수집 및 처리하던 부분을 topst에 이전해 보려고 합니다.
2팀의 경우 vcp-g 보드를 제공해주신다는 답글을 보았는데,
가능하시다면 저희 팀에도 vcp-g 보드를 제공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감사합니다.

넵, VCP-G보드도 3개를 보내도록 하겠습니다~
3개면 3팀이 나눠서 쓸 수 있을까요?

네 각 팀당 하나씩 있으면 충분합니다. 감사드립니다!

라즈베리 카메라 관련해서 답글 달아 주세요~~~

김석범 매니저님이 담당하시는 팀이 2팀인데, 김석범 매니저님은 3팀이라고 알고 계셔서 전달 오류가 있었던거 같습니다. 뒤에 카메라 내용은 2팀 프로젝트에 적어두겠습니다. 죄송합니다

1 Like

안녕하십니까,
D3-P 보드의 디스플레이 출력 설정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현재 DP to HDMI(Active) 케이블을 사용하여 보드를 태블릿에 연결했고, 1920x1080 해상도로 정상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저희가 개발 중인 Qt GUI는 2560x1600 해상도로 설계를 해서, D3-P보드와 연결 했을때도 해당 해상도로 변경하려고 시도중입니다.

아래와 같은 설정을 /usr/share/weston/weston.ini 파일 하단에 추가한 후 재부팅하였으나, 여전히 1920x1080로만 출력됩니다. (사용중인 디스플레이는 2560x1600 지원가능, PC와 연결시 확인하였음).
image

[output]
name=DP-1
mode=2560x1600

캡처

혹시 다음 사항들에 대해 확인 가능할까요?

  1. D3-P 보드가 2560x1600 해상도를 출력 지원하는지 여부
  2. weston.ini에서 설정한 [output] name=DP-1mode=2560x1600 방식이 올바른지
  3. 필요하다면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설정

관련된 가이드나 권장 설정 방법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3팀 김예진입니다.

topst D3 보드에서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qt5 기반으로 개발을 하기 위해, meta-toolchain-qt5 sdk를 사용하여 크로스 컴파일 환경을 구축한 상황입니다. 지금 사용 중인 sdk에는 필요한 라이브러리(openssl 1.0)가 없는 것 같아 옵션을 줘서 다시 bitbake를 하려고 합니다. 또한 openssl 1.0 버전을 따로 받아서 레시피에 추가를 시도 중입니다. 혹시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십니까, '지능형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주제로 프로젝트 진행했던 텔미텔리 팀입니다.

github 주소 댓글로 남겨달라는 말씀 전달받아 댓글 작성드립니다.

github: Telechips Embedded Project · GitHub

여러 물품들을 지원해주시고 답변을 남겨주셔서 도움받아 프로젝트를 잘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